돌아오는 농촌, 그리고 마을의 숙제 > 칼럼

본문 바로가기


< 칼럼 >
GEOCHANG FARM ASSOCIATION

[ 돌아오는 농촌, 그리고 마을의 숙제 ]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7-03-29 16:44 조회655회 댓글0건

본문

돌아오는 농촌, 그리고 마을의 숙제- 김훈규(거창농업회의소 사무국장)

  • 기사입력 : 2016-08-10 07:00:00
  •   
  • 메인이미지

    귀농·귀촌인들은 새로운 정착지로 대체로 농촌의 마을을 지향한다. 

    소통과 배려에 목말라한 이들은 오랫동안 살았던 삭막한 도시와는 전혀 다른, 우물과 같고 따뜻하게 안아줄 고향과도 같은 농촌의 마을을 그리워한다. 과연 우리의 농촌, 그 속의 마을과 주민들의 모습은 온전히 그러할까? 

    30대 초반의 나이에 귀농을 해서 마을로 들어갔을 때, 주민들의 반응은 크게 두 가지였다. 우선, ‘이렇게 젊은 사람이 마을에 들어와서 너무 반갑고 고맙다’는 것이었다.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았을 때 주민들의 반응은 더욱 살가웠다. 반면 또 다른 반응은 ‘젊은 사람이 어찌하여 이런 농촌에 들어와서 이 고생을 하느냐?’였다. 

    젊은 사람의 귀농은 환영할 만하지만 ‘내 자식이 농사를 지으러 들어오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했다. ‘우리 마을에 귀농·귀촌인들이 많이 들어와서 땅값을 좀 올려주면 좋겠다. 나 죽어 농사 그만 짓고 이 땅이라도 팔아서 도시에 사는 자식들이 집 장만하는 데 도움이라도 줘야 하지 않겠나!’ 하는 속 깊은 이야기를 꺼내기도 했다.



    근래 정부의 농업농촌 정책은 ‘돌아오는 농촌’을 지향한다. 대단히 선명한 구호로 정했다. 늙고 왜소한 농촌 마을의 소멸을 막아보고자 하는 의도와 함께, 도시민의 탈출구로 농촌은 새로운 ‘희망’을 제시한다.

    그런데 그 구호와 함께 쏟아지는 정책들이 다소 불안하기도 하다. 우리의 농촌정책이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떠나지 않는 농촌’이 되지 못하고, 지자체들이 단순히 사람의 유입에 열을 올리는 인구증가 시책으로 바쁘다는 인상을 받는다.

    귀농귀촌 가구에 대해 지원하는 초기 영농정착자금이나 빈집수리비용이 의미 있는 종잣돈이 되기도 하지만, 그만큼의 혜택도 받아보지 못한 기존의 소농, 고령농가들은 불만을 토로하기도 한다.

    개별 가구에 대한 지원도 좋지만 차라리 귀농귀촌인을 맞이하는 해당 마을에 그들의 안정적인 농촌 정착을 돕는 데 쓰일 수 있는 ‘마을공동체 활성화 비용’을 지원하는 것은 어떨까? 

    김훈규 (거창농업회의소 사무국장)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주 소(우편번호: 02582) 거창군 거창읍 소만3길 14-16 농업인회관 2층 거창군농업회의소
연락처,전화 055-943-5547 | 팩스 055-943-5548 | 전자우편 kkh5960@nate.com
Copyrightⓒ THE GEOCHANG FARM ASSOCIATION. All rights reserved.